당뇨병성 망막증 치료
제1 형 또는 제2 형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은 실명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심각한 안과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.
특히 당뇨가 잘 조절되지 않거나 진단되지 않은 당뇨병이 그러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당뇨병을 잘 관리한다 해도 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 당뇨병성 안구 질환은 당뇨병성 망막증, 조기 백내장 또는 녹내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이 모든 것이 영구적인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당뇨병성 망막증이란 무엇입니까?
당뇨병성 망막증은 당뇨병성 안구 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. 당뇨병 환자의 혈당 상승은 몸 전체, 특히 망막의 혈관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결과 비정상적인 혈관 누출로 이어져 연약한 혈관이 자라는 경우가 많습니다. 발병 초기 또는 경미한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는 시력의 변화를 느끼지 못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당뇨병성 망막증은 양측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귀하 또는 가족 구성원이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경우, 유러피안 아이 센터에서 매년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추천 드립니다.
당뇨병성 망막증의 단계는 어떻게 될까요?
당뇨병성 망막증에는 경증 이 증식성 망막증, 중등도 이 증식성 망막증, 중증 이 증식성 망막증 및 증식성 망막증의 4 단계가 있습니다. 안저 (망막) 검사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데 때로는 안과 전문의가 당뇨병성 망막증을 추가로 검사하기 위해 플루 레인 혈관 조영술이나 OCT 스캔 검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.
당뇨병성 망막증은 어떻게 시력 상실을 유발할까요?
당뇨병의 혈당 상승이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요인이 있는데, 그 중 하나는 비정상적인 혈관의 성장입니다. 이러한 혈관들의 출혈로 인해 종종 시야가 흐려지고 왜곡되며 또한 손상된 혈관이 선명한 중심 시야를 만들어 주는 망막의 일부인 황반으로 누출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황반 부종이 발생하여 시력을 잃게 됩니다.
당뇨병성 망막증의 위험군은 누구일까요?
1 형 또는 2 형 당뇨병, 인슐린 의존성 또는 비 인슐린 의존성 등 당뇨병을 가진 모든 사람들은 당뇨병성 망막 병증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매년 종합적인 눈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 당뇨병 진단을 받은 환자의 약 절반은 이미 당뇨병성 망막증의 어느 단계에 이르러 있습니다. 당뇨병성 망막증이 있는 경우 의사는 병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치료를 권할 수 있으며 망막 전문의는 당뇨병성 망막증을 치료할 수 있는 최적의 자격을 갖추고 있습니다.